2022-12-29

clipdown 시작프로그램에서 지우기

   이 프로그램은 웹상에서 내려받지 못하게 설정한 동영상을 내려받을 수 있는 편한 도구인데 문제는 편리하고 유용한 만큼의 값을 합니다. 웹브라우저 실행 시키면 두 개씩 뜨고 광고도 열릴 뿐 아니라 지우려고 해도 시작프로그램에 들어가 있는데 지워지지도 않습니다.

  지우는 방법입니다.

제어판-관리도구-오른쪽 창에서 '작업 스케줄러' 더블클릭-왼쪽 창에서 '작업스케줄러(로컬)' 클릭-가운데 창에서 '작업상태'클릭

'실행중인 작업'이 활성화되고 항목에서 clipdown 찾아 더블클릭한 뒤 오른쪽에서 '삭제'를 찾아 실행

한자어원공부 올해 마지막

 





2022-12-27

책걸이

   오늘 드디어 장장 1727쪽의 한국식물이름의 유래 요약 작업을 끝냈습니다.



2022-12-22

새로운 삶의 형태 정리하기

   1차산업에서 벗어난 것이 시작이었고 지금은 직업의 형태가 과거와 완전히 달라지면서 지금까지 이어져왔던 가족, 삶의 방식을 따르지 않는 새로운 흐름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리해 보았습니다.

DINT족 Dual income No time 둘 다 버는데, 시간이 없어 소비를 하지 못하는 가구

DINK족 Dual income No kids 아이를 갖지 않는 맞벌이

DINKPET족 DINK+PET

DEWK족 Dual employed With kids 아이가 있는 맞벌이 부부. 고소득, 고학력

FIRE족 Finantial indepence, entire early 경제적 자립을 당겨 빨리 은퇴하자는 사람들

YUP족 Young urban professional 고등교육을 받고 전문직에 종사하여 고소득을 올리는 젊은 부자. 여피족

YOLO족 You only live once 인생은 한번 뿐이다. 현재를 즐기자


  여기서 전통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건 듀크족인데 신기하게도 이름도 귀족적입니다.

2022-12-21

어쩐지...

   주역 공부를 하고 있는데 어쩐지 송창식의 '가나다라'의 가사에 비슷한 게 있는 것 같은 겁니다. 아, 자랑하는 거 아니고 이제 네 번째 괘 들어갔습니다. 괘 이름을 외워야 해서 현재까지 배운 걸 반복하는 과정에서 생각난 겁니다.

  중천건重天乾, 중지곤重地坤, 수뢰준水雷屯, 산수몽山水蒙까지입니다. 복습 겸 설명하자면

'천(하늘)'이 중복해서 '건'괘, '지(땅)'가 중복해서 '곤'괘, 위는 수(감, 물), 아래는 뢰(진, 천둥)가 있어 '준(혹은 둔)괘, 위는 산(간, 산), 아래는 수(감, 물)이 있어 '몽'괘

  순서대로 이렇습니다.,,

  괘상卦象을 외우기 위해 만든 말입니다. 노래 가사를 찾아 보았습니다. 4절에 있었습니다.

1절
2절
3절

<span style="color: #615e5d;">어기여 어기여 이리뛰고 저리뛰고 뱅글 뱅글 뱅글 다시보면 다시 그자리 </span><span style="color: #2b00fe;"><b>중건천 중곤지 수뢰둔 산수몽</b></span><span style="color: #615e5d;"> 헤이 헤이 하늘보고 땅보고 여기저기 보아도 세상만사는 너무너무 깊고 일엽편주에 이마음 띄우고 허 웃음한번 웃자 일엽편주에 이마음 띄우고 허 웃음한번 크게 웃자고</span>

건괘와 곤괘의 이름이 잘못 되었고 세 번째 괘의 이름은 '준'이라고도 하고 '둔'이라고도 합니다. 정말 들은 지 오래 되었던 노래인데 그게 생각이 나네요.

2022-12-16

일천함!

   정말로 '오잉?'이라는 말이 입밖으로 튀어 나올 뻔 했습니다.

  주역을 공부하고 있는데 坤괘의 괘사에 처음 보는 한자가 나왔습니다. 牝馬. 빈牝의 뜻은 암컷이었습니다. 찾아 보았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자웅을 겨루다'의 雌雄은 날짐승의 암컷과 수컷을 말하고 길짐승은 다른 말을 쓴답니다. 빈牝이 암컷이고 모牡가 수컷이랍니다.

  雌는 밤이고 雄은 낮인데 서로 번갈아 가며 세상을 자기의 것으로 바꾸는 것을 일컫는 데서 '자웅을 겨루다'는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한자어원공부 12월 셋째주

 






2022-12-14

운명

   운명은 무기물에도 있습니다.


  지금 저렇게 주차장으로 쓰고 있는 저 공간은 많은 사람들이 테니스 공간으로 썼던 곳입니다. 그거 만들 때 잘 아는 사람이어서 아주 신경써서 만들었고 틈만 나면 이용하던 곳이어서 대기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었던  곳인데 저렇게 만들어버렸어요.

선물?

   자신의 부탁을 들어주면 그에 합당하다고 생각되는 선물을 한다는 일본의 풍습을 듣고 정말 좋을 일이라고, 본받을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축할 것도 없는 환경에서 자라서 선물이라고는 내가 학교에서 상을 받으면 큰 대야에 음식을 담아 이고 학교로 가시던 생각만 있어서 선물은 새로 공부해야 하는 영역이었거든요.

  일본의 그 풍습은 부탁을 한 사람의 상대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이 그 부탁을 들어주기 위해 들인 노력은 그가 가진 조건에 따라 상대적인 가치를 가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상당히 중요한 일입니다.선물을 받은 사람의 입장에서.


  더브릿지에 매달 5만원씩 기부를 하는데 선물 보내준다더니 저걸 보내왔습니다. 한참을 만져보았습니다. 정말로 보조인지. 선물을 바라지 않습니다. 기부금을 누구에게 주라는 지정도 하지 않았거든요. 세상에 저게 뭐랍니까. 지들은 돈을 들였지만 난 욕만 나오네요.

자신의 얼굴

  일을 할 때 의도만 통한다고 될 일이 아닙니다.


    일의 시작은 한년 초 시간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부터였습니다. 시작프로그램으로 잡아서 컴터 부팅을 할 때 자동 실행되고 그 날 수업해야 하는 내용이 뜨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수업계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책상에서 몇 번의 클릭으로 변동사항을 알려주는 것이니 편했겠죠. 그런데 수업자의 입장에서는 아침마다 들여다 보고 하루의 것을 다 기억하지 못하면 바탕화면에 띄워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또 하나는 이게 메모리를 먹기 때문에 난 카톡도 시작프로그램에 잡아 놓지 않아서 정말 내키지 않았지만 그냥 썼습니다.

  그런데 더욱 고약한 문제는 이 어플의 서버가 있는 것이고 그게 수업계의 컴터인데 이 사람이 출근 시간이 늦다는 것이었습니다. 개선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난 쓰지 않겠다고 알렸습니다. 

  저 사진에 있는 거 학년초부터 있기는 했는데 저거 작업이 싫어서 세상에 학생에게 맡긴 겁니다. 학생이 없을 때는 이전의 시간표가 계속 걸려 있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수업이 없으면 저렇게 마카펜으로 찌직거려 놓는 겁니다. 저 정도면 한심하다는 표현이 맞을 겁니다. 신규교사고 거걸 지도하고 있는 교무는 4년차인데 일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 불편하고 보기 흉해도 그냥 두고 있습니다.월요일이면 출근이 싫다는 사람들입니다. 그냥 안나오면 될 것을.

2022-12-09

학문하는 방법

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辨之, 篤行之.

넓게 공부하고, 자세히, 깊게 묻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분명히 말하고, 독실하게 행하라.

중용에 나오는 말이랍니다.





자식 가르치기

   자식 대하기를 내 집에 온 귀한 손님처럼 대하라.

유퀴즈에 나온 김붕년 교수의 말씀이었습니다. 첫째, 그에게 내가 좋아하는 음식을 권하지 않는다. 그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들로 대접하며 마구 먹으라고 강요하지도 않는다. 둘째, 그는 내가 좌지우지할 사람이 아니다. 존중하고 개별자로 대해 주어야 한다. 셋째,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떠나게 놔주어야 한다. 떠나는 대는 저마다 다르다.

  우와, 이런 멋있는 말씀.

한자어원공부 12월 두번째 주

 





2022-12-02

짐, 과인

    뜻은 '나'. 사기에 의하면 진시황이 이 글자는 자신만 쓸 수 있는 글자라고 명령. 황제만 사용 가능. 그 이전에도 '나'를 뜻하는 글자로 일반에서 쓰고 있었다고 합니다. 공식적인 자리가 아닐 때는 '아我'를 썼다고 합니다. 

  과인寡人 짐을 낮춘 것으로 제후들이 사용.  사적인 자리에서는 '여余'를 썼다고 합니다. 자신감이 넘치던 영조시절에는 '짐'을 쓰기도 했다네요.

  정리하자면 중국의 속국을 인정하지 않았던 시기에는 한반도에서도 '짐'을 썼고 그렇지 않은 시기에는 '과인'을 썼다는 거지요. 국립국어원에서는 과인을 그냥 왕이 자신을 낮추어 말한 것으로만 나옵니다.

한자어원공부 11월 마지막 주

 






2022-12-01

득어망전得魚忘筌

   그대로 해석하면 '물고기를 잡고 나서 그물(통발)을 잊는다'입니다. 도올 강의 중 잠깐 스치듯 나왔는데 필이 꼽혀서 공부하기로 했습니다. 찾아 보았더니 이름 꽤나 날리는 사람이 이런 오역을 해놓았더라구요.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을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목적을 이루면 그때까지 수단으로 삼았던 사물은 무용지물이 됨을 이르는 말.

  이는 토사구팽과 유사합니다. 이상해서 원문을 찾기로 햇습니다. 장자 외편에 나오는데 이렇게 해석을 해야 합니다.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의미로 목적을 이루면 목적의 수단으로 쓰인 도구에 더 이상 집착하지 말라는 뜻

  그러니까 불경에 나오는 '뗏목을 이고 가는 사람'처럼, 공부를 하는데 아주 중요하게 도움을 받았던 것이지만 이제 그로 인해 깨우침을 얻게 되었다면 그 수단을 붙들지 말고 보내 주라는 뜻입니다. 멋진 말입니다.

2022-11-25

자신의 판단이 옳은가?

   어떤 사람이든 그의 판단이 옳은지에 대해 스스로 고민해야 합니다. 그 사람의 개인적인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경험이 자신의 판단의 기준이 되는 것이 그 하나구요. 둘은 그 경험(지식)도 과거의 것을 기반하는 것이니 그것도 판단을 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이 학교의 교사들은 학생들이 착하다고 이야기하는데 그들은 날 비관적으로 본다고 하겠지만 이 아이들은 엄청나게 계산에 밝은 아이들입니다. 자신이 속일 수 잇는 어른에게는 예의바르고 착하게 대하지만 자신이 속일 수 없는 어른에게는 대놓고 무시하거나 적대시 합니다. 가능하면 말을 섞지 않으려 하지만 어쩌다 아이들에 대해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면 그들도 다 같은 현상을 보았는데 덮고 있더라구요.

  그게 자신도 편하고 아이들도 편하고 그래서 양쪽 관계가 편하고. 선순환인 거죠. 1학년은 여학생들은 호의적이고 수업태도도 좋습니다. 물론 그 속에 수학에 관심이 없는 아이들이 있어도. 그런데 남학생들은 수학공부를 하고 싶은 아이들이 있었지만 지금은 모두가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럴 이유가 전혀 없는데 스스로든 그렇게 선택하고 행동을 하더라구요.


  다면체와 회전체 공부를 하는 시간입니다. 머리를 쓸 일이 거의 없는 단원인데 이렇습니다. 앞자리 신규 선생님에게 보여 주었더니 자신의 시간에도 자는 아이들이 있어서 깨웠더니 쪽지 상담에 자는 아이 깨우면 수업에 방해가 된다고 깨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나왔다네요. 나만 느끼는 현상이 아닌데 보는 시각과 판단하는 게 다른 거지요. 아름다운 마음으로 보아야 좋은 교육이 되는 게 아니고 바른 현실인식이 좋은 교육을 만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우야, 넌 어떻게 생각하니?

즐거운 공부

   누구도 내가 공부하는 게 문제라고 이야기했는데 나도 인정합니다. 공부할 수록 전에 알고 있던 것들이 잘못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니까 사람들과의 대화가 매끄럽지 않게 되니까요. 입을 닫아야 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두엄지고 장에 가기

  제목처럼 쓰면 피식 웃을 일이지만 한자로 '부하뇌동'이라고 하면 욕으로 들립니다. 하지만 요새 에스엔에스를 기반으로 남들 하는 거 다 따라하는 인증을 올리는 게 그게 아니면 무엇이겠습니까.

  지금 하고 있는 월드컵 열풍고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며칠 전 개기월식 때도 그렇구요. 난 약속장소로 걸어 가던 중 붉게 물드는 걸 보고 예쁘다고만 생각했는데 전화통화로 개기일식이 일어나고 있는 중이라는 걸 알았습니다. 다음 날 아침 산책 나가는데 서쪽 무선산에 걸린 달이 예뻐서 한 장 찍었습니다.



특이한 동백

   무선산을 돌다가 처음 보는 동백을 만났습니다. 산길 옆으로 의도적으로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데 잎과 나무는 애기동백인데 꽃이 많이 크고 화려했습니다.





한자어원공부 11월 넷째 주

 






2022-11-23

누구나 달콤한 말이 좋습니다

   공자는 교언영색은 성실하지 못한 사람의 행동이라고 햇다는 걸 말한 적 있습니다. 그런데 십팔사략을 읽다가 한 개의 장면에서 특이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런데 그 상황이 논리적으로 모순이 있어서 교차 체크를 해보았더니 이 책이 잘못된 것이었습니다. 그 상황이란 게 한자 해석의 문제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공자가 천하주유할 개의 일입니다. 말이야 멋있지 나라들마다 퇴짜를 맞고 다닐 때의 일입니다. 진나라, 채나라, 엽나라를 지나 진나라와 채나라의 사이에서 머물 때 진의 소왕이 공자를 초청했습니다. 진과 채는 자신들은 쓰지 않겠다고 했지만 초나라에서 쓰면 자신들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생각해서 군대를 보내 초로 가는 것을 막습니다.

  따르는 사람들이 있어 식량이 떨어져 심한 곤란에 빠졌습니다. 

  공자가 자신의 도가 옳음에도 그런 지경에 달함을 한탄합니다. 

자공: 선생님의 도는 너무도 큽니다. 그래서 천하가 선생님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조금 이상을 낮추시는 것이 어떨까요?

공자 : 사야! 훌륭한 농부가 아무리 농사를 잘 지어도 반드시 곡식을 거둔다는 보장은 없으며 훌륭한 장인의 기술이 아무리 뛰어나도 모든 사람의 기호에 맞출 수는 없는 법이다. 군자가 도를 통달하였다고 해서 반드시 기용되는 것은 아니다. 너는 자신의 도에 정진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고민하는구나. 사야 너의 뜻은 원대하지 못하구나.

  자공이 나가고 안회가 말합니다.

안회 : 선생님의 도가 너무나 커서 천하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선생님께서는 밀고 나가십시오. 용납되지 않은들 무슨 걱정입니까? 용납되지 않은 연후에 군자의 진면모가 나타나는 법입니다. 도를 닦지 않은 것이 우리의 수치이지, 도를 크게 닦았는데도 채용되지 않는 것은 군주들의 수치입니다. 용납되지 않은들 무슨 걱정입니까? 용납되지 않은 연후에 군자의 진면모가 나타나는 법입니다.

 

공자는 흔연히 웃으며 말하였다. “옳은 말이다. 안 씨의 아들아, 만약 네가 재산이 많이 생긴다면 나는 너의 재산 관리인이 되겠다.”


  어떻습니까, 자공의 말과 안회의 말? 어떤 사람을 더 가까이 두고 아끼겠습니까? 참고로 자공은 돈은 벌지 못하고 식객들만 많은 공자를 평생 먹여 살린 사람이고 안회는 버는 것이 없으니 항상 곤궁하게 살았던 사람입니다. 공자는 안회를 가장 사랑했고 일찍 죽자 엄청 슬퍼했다고 합니다.  "하늘이 나를 버리시는도다, 하늘이 나를 버리시는도다."(天喪予 天喪予 ). 문일지십聞一知十 은 공자가 안회를 일컬어 한 말이랍니다.

2022-11-22

이씨 성

   이씨 성을 가진 사람들, 특히 전주 이씨들은 버들류씨들처럼 다른 이씨, 유씨와 다르다는 걸 목에 핏대를 세우며 강조합니다. 볼까요.

그들의 성 '이'는 '리'입니다. 李. '이하부정관'의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에 나오는 그 글자인데 '오얏나무'이고 소리는 '이'가 아닌 '리'입니다. '배'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배'는 소리가 '이'이고 한자는 梨입니다.

2022-11-21

월급(임금) 계산하기

   임금 계산하는 것을 전에 글을 올린 줄 알았는데 보이지 않네요.

- 하루 급여 : 시급*8시간

- 1주 급여 : 하루 급여*5일 + 주휴수당

  (주휴수당 : 1주 15시간 이상 근무 노동자에게 일하기로 정한 날을 개근하면 더 주는 하루치 임금)

- 한 달 급여 : 1주 급여 * 4.345주

  (한 달 = 365일÷12달=30.4일

   1주일 = 30.4일÷7일 = 4.345주)


연장근로 :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 초과시 시급÷1.5

야간근로 : 22:00~06:00 시급*2 (야간 근로도 50%추가인데 연장근로와 중복하니까)


그래서 2022년 최저임금을 바탕으로 월급 계산

시급*8시간*(5+1)일*4.345주=1,910,410(원)

기발한, 그러면서 어쩐지 못마땅한

    옆 초등학교 정문 입구 계단. 꽤 여러 번 보았을 것인데 오늘에야 눈에 띄었습니다. 왜 윗부분에 고리 모양을 붙여 놓았을까 생각을 했는데 이해 되었습니다. 여기 난간이 있으면 아이들이 엉덩이 걸치고 미끄럼 타고 내려 오겠지요. 다치기 쉬우니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