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朕 뜻은 '나'. 사기에 의하면 진시황이 이 글자는 자신만 쓸 수 있는 글자라고 명령. 황제만 사용 가능. 그 이전에도 '나'를 뜻하는 글자로 일반에서 쓰고 있었다고 합니다. 공식적인 자리가 아닐 때는 '아我'를 썼다고 합니다.
과인寡人 짐을 낮춘 것으로 제후들이 사용. 사적인 자리에서는 '여余'를 썼다고 합니다. 자신감이 넘치던 영조시절에는 '짐'을 쓰기도 했다네요.
정리하자면 중국의 속국을 인정하지 않았던 시기에는 한반도에서도 '짐'을 썼고 그렇지 않은 시기에는 '과인'을 썼다는 거지요. 국립국어원에서는 과인을 그냥 왕이 자신을 낮추어 말한 것으로만 나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