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02

신학문? 꿰어 맞추기?

  사전에는 약 5만~10만 단어가 수록되어 있지만 우리가 평소에 일상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군은 여성의 경우 약 6,000단어, 남성의 경우 약 5,000단어이며 결혼한 남성은 약 1,800 단어를 사용합니다.   - 카이스트 정재승씨의 열두발자국 중에서
  이 말은 진화심리학연구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진화심리학을 찾아 보았습니다. 주류이론의 기본원리는 이렇답니다. 남성의 정자는 무한히 공급되지만 여성의 난자는 평생 쓸 양이 정해져 있어 남성은 가능한 많은 여성을 찾고 여성은 질좋은 소수의 파트너를 원한다는 데에 있답니다. 그런데 이 이론, 학파의 이론은 새로 나왔는데 그 근본부터 부정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이론이 지적을 받는 부분의 핵심은 합리적이라로 생각되는 결론을 정한 뒤 그에 꿰어 맞추기를 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그러니까 관찰 결과 발견되는 자신의 주장에 어긋나는 예들은 무시해 버리고 자신에 맞는 것만 적용을 시킨다는 것입니다.
  나도 항상 걱정하고 경계하는 것이 화성남자, 금성여자같은 부류의 것입니다. 그것을 믿는 사람들은 그것을 일반적이라고 생각하고 그에 따르지 않는 예들은 고려할 필요가 없는 예외로 치부해버린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저런 이론들이 그 근거가 그럴싸하다는 것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기발한, 그러면서 어쩐지 못마땅한

    옆 초등학교 정문 입구 계단. 꽤 여러 번 보았을 것인데 오늘에야 눈에 띄었습니다. 왜 윗부분에 고리 모양을 붙여 놓았을까 생각을 했는데 이해 되었습니다. 여기 난간이 있으면 아이들이 엉덩이 걸치고 미끄럼 타고 내려 오겠지요. 다치기 쉬우니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