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는 시선에 대해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자신의 소신만을 장조하면서 주위의 눈에 대해 전혀 개의치 않는 사람들에게 독불장군이라고 합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그런 사람이 자신이 스스로의 과오를 발견하고 자신의 관점을 수정할 일은 없습니다. 물론 주위의 눈치만 보는 것도 문제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적당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나와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은 생각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과학적인 사실마저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니까요. 게다가 근무 환경에 따라 학생과 학부모들의 지향점도 다릅니다.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내 기준을 유일한 교육의 지표로 삼으면 그런 역할은 인공지능이 대신해도 충분할 것입니다. 칭찬에 매몰되지 않고 비판에 상처받지 않으면 됩니다.
바이스가 그제 스승의 날에 학생들 편지라고 쓰게 하라고 해서 뭘 그런 쑥스러운 짓을 하냐며 묵살을 했더니 직접 아이들에게 지시를 했나 봅니다. 롤링페이퍼식으로 써서 어제 오후에 주네요. 새한이란 놈은 과감하지요?
2018-05-16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진정한 이념의 방향
어떤 사람이 보수인지 진보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보통은 쉬운 방법으로 응답자에게 스스로 어느 편인지 묻습니다. 이것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스스로 해당 편향이 정의롭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이며 보수도 진보도 객관적으로 본다면 일방적인 정...
-
(정리) 소수는 무한히 많다 (증명) 소수의 개수가 유한하다고 가정하고, p 1 , p 2 , ⋯ , p r 가 모든 소수의 목록이라 하자. 자연수 N = p 1 p 2 ⋯ p r + 1 을 정의하자. N 은 각 소수 p i ...
-
'동이 트다'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사전에는 없는데 뜻풀이에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 날이 새면서 동쪽 하늘이 훤해지다'로 풀이 합니다. 그러면 제목에 쓴대로 동트기 전이 제일 어둡다고 말한 것이 맞는 말일까요?...
-
등사기는 빨리도 사라져갔습니다. 가리방이라고 했는데 어감상으로 일본어인 것 같습니다. 발령을 받았을 때 이걸로 문서를 인쇄하고 시험문제를 냈습니다.상당한 기술을 요하는 작업이었습니다. 2번의 기름종이엥 1번의 쇠판 위에 올려 3번의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