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였던 버나드 맨더빌(1670~1733)이 1714년에 쓴 것입니다. 종세 기독교 도덕은 금욕과 이타심을 미덕으로 삼았는데 이를 위선이라고 비판하며 사람의 이기적인 본성을 바로 보자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말입니다.
자선(charity) 친분이나 혈연으로 매이지 않은 남에게, 또는 우리가 빚지지도 않고 어떤 것을 되받으리라 바라지도 않는 그저 낯선 사람에게조차도 우리가 스스로에게 갖는 진지한 사랑을 순수하게 나누어 주는 미덕
이를 흉내내는 감정으로
연민(pity), 동정심(compassion) 다른 사람들의 불행과 재난을 동료의식(fellow feeling)으로 슬퍼해주는 마음
그런데 자선은 자기만족이 있기 때문에 위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당시는 그랬겠지만 지금 본다면 아주 합리적인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이런 겁니다. 사람이 아주 잘나갈 때 제일 죽음을 두려워 한다. 왜냐하면 그 때 삶의 가치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2018-05-03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상 멸망의 빈 일부 채우기
상나라의 멸망에 아쉬워 할 것은 없습니다. 이 땅의 한 종교가 우리나라가 그 나라의 후손이 세운 나라라고 하여 나도 약간의 애정이 있긴 하지만 '설'이기에 가능성만을 믿을 뿐. 다만 여기에 이해가 되지 않은 구석이 있었습니다. 주의...
-
(정리) 소수는 무한히 많다 (증명) 소수의 개수가 유한하다고 가정하고, p 1 , p 2 , ⋯ , p r 가 모든 소수의 목록이라 하자. 자연수 N = p 1 p 2 ⋯ p r + 1 을 정의하자. N 은 각 소수 p i ...
-
'동이 트다'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사전에는 없는데 뜻풀이에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 날이 새면서 동쪽 하늘이 훤해지다'로 풀이 합니다. 그러면 제목에 쓴대로 동트기 전이 제일 어둡다고 말한 것이 맞는 말일까요?...
-
등사기는 빨리도 사라져갔습니다. 가리방이라고 했는데 어감상으로 일본어인 것 같습니다. 발령을 받았을 때 이걸로 문서를 인쇄하고 시험문제를 냈습니다.상당한 기술을 요하는 작업이었습니다. 2번의 기름종이엥 1번의 쇠판 위에 올려 3번의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