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들은 군대를 다른 나라와의 전쟁을 대비하는 조직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군내가 아닌 국외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경찰과 구분(위키백과)하고 있구요. 생긴, 아니 만든 목적과 형태가 무엇이든 거의 모든 군대는 표면적으로는 방어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십자군 전쟁도 순례단을 지키는 것이건 기독교의 세를 수호하는 것이든 내건 명분은 수비인 것입니다. 실제로 칩략과 약탈을 주로 한 일이었지만요. 그래서 한발 떨어져서 본 모든 군대는 순수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심각한 문제는 재정의 문제입니다. 한국의 올해 예산지출 계획을 보면 총지출은 약 470조이고 국방비는 약 47조로 10% 살짝 미치지 못합니다. 외교. 통일에 5.1조. 그러니까 말로하는 것보다 힘으로 하는 데에 집중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말하고 있는 것은 생산성 때문입니다. 군대는 전혀 생산적이지 않은 곳입니다. 미국의 해군력에 대해 우려의 눈길을 보내는 것은 조선업이 일반 상업용은 1, 군사용이 9이기 때문에 심각한 시한폭탄을 짊어지고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비생산적인 부문을 먹여살리기 위해 어마어마한 돈을 들이고 있는 건데 그 조직이 생ㅅㅏㄴ적이 되려면 침략해서 약탈을 해오는 것 말고는 없다는 것이 또 하나의 문제니까요. 그래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다른 분쟁지역에 군대를 파견하는 것이겠지요.
군대의 필요성에 대한 판단만으로도 정치, 사회적인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군대가 필요하다고 하는 사람은 중도일 수도 없습니다.
2019-05-13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불행의 시작, 인간의 욕심
인간의 본능인 욕심은 문명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산주의 경제의 가장 큰 결점이 되기도 하구요. 또한 성취욕은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꼭 필요한 것입니다. 당糖도 마찬가지잖아요. 핏속에 들어가 몸에 에...
-
(정리) 소수는 무한히 많다 (증명) 소수의 개수가 유한하다고 가정하고, p 1 , p 2 , ⋯ , p r 가 모든 소수의 목록이라 하자. 자연수 N = p 1 p 2 ⋯ p r + 1 을 정의하자. N 은 각 소수 p i ...
-
'동이 트다'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사전에는 없는데 뜻풀이에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 날이 새면서 동쪽 하늘이 훤해지다'로 풀이 합니다. 그러면 제목에 쓴대로 동트기 전이 제일 어둡다고 말한 것이 맞는 말일까요?...
-
등사기는 빨리도 사라져갔습니다. 가리방이라고 했는데 어감상으로 일본어인 것 같습니다. 발령을 받았을 때 이걸로 문서를 인쇄하고 시험문제를 냈습니다.상당한 기술을 요하는 작업이었습니다. 2번의 기름종이엥 1번의 쇠판 위에 올려 3번의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