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가 수백년 묵은 나무가 비결이 쓸모없어서라고 한 건 루쉰이 불쏘시개로라도 쓰여야지 그게 자랑이냐고 비꼬았습니다.무엇이 더 중요할까요?
어제 산책을 나갔다 오면서 덩굴 산딸기를 보았습니다.
나무처럼 곧게 자라는 산딸기는 크고 보드랍고 달디 단데 덩굴딸기는 작고 단맛은 적고 신맛이 있으며 씨까지 크고 단단해서 예쁜 것과 대조적으로 별로입니다.그래서 은적사 가는 길의 이 산딸기는 이렇게 말라가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 거지요. 산딸기는 자신의 명대로 사그러져 가는 게 좋을까요, 쓸모있게 사람들에게 먹히는 게 좋을까요.
2020-06-17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불행의 시작, 인간의 욕심
인간의 본능인 욕심은 문명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산주의 경제의 가장 큰 결점이 되기도 하구요. 또한 성취욕은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꼭 필요한 것입니다. 당糖도 마찬가지잖아요. 핏속에 들어가 몸에 에...
-
(정리) 소수는 무한히 많다 (증명) 소수의 개수가 유한하다고 가정하고, p 1 , p 2 , ⋯ , p r 가 모든 소수의 목록이라 하자. 자연수 N = p 1 p 2 ⋯ p r + 1 을 정의하자. N 은 각 소수 p i ...
-
'동이 트다'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사전에는 없는데 뜻풀이에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 날이 새면서 동쪽 하늘이 훤해지다'로 풀이 합니다. 그러면 제목에 쓴대로 동트기 전이 제일 어둡다고 말한 것이 맞는 말일까요?...
-
등사기는 빨리도 사라져갔습니다. 가리방이라고 했는데 어감상으로 일본어인 것 같습니다. 발령을 받았을 때 이걸로 문서를 인쇄하고 시험문제를 냈습니다.상당한 기술을 요하는 작업이었습니다. 2번의 기름종이엥 1번의 쇠판 위에 올려 3번의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