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10

사진 비율

  발령을 받고 제일 먼저 취미활동으로 시작한 것이 사진이었습니다. '카드는 빚'이라는 생각이 확고했고 절대 빚을 져서는 것도 불변의 가치였지만 사료고 했던 미놀타300의 가격이 한 단 월급을 훨씬 넘어서는 것이어서 타협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2년 할부로 기억합니다. 많이 찍으러 다녔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다니기도 했고 나중엔 어쩌다 손에 들어 온 내일모래하는 스쿠터 핸디50을 타고 다니며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러면서 사진의 기본을 익혔고 인물로 공부단계를 올리면서 열기가 식었습니다.
  생물학적인 인간에게 가장 매력적으로 보이는 가로세로의 비율은 얼마일까요. 정오각형 별에 푹 빠져 황금비가 진리인 것으로 믿었던 다빈치와 그의 추종자(지금까지도 무지 많은)들은 1:(1+root5)/2의 대략의 근삿값 1:1.6을 거의 신처럼 떠받드는데 그게 제일 매력적인 비율일까요.
  증명사진의 비율은 3:4이고 일반적인 모니터가 나왔을 때 비율은 800*600이었습니다. 이 둘 중 3:4의 비율은 예쁘다고 보이지 않고 경직되어 보입니다. 대부분 일상에서 보이는 직사각형의 것들은 4:3에 가까운 비율이 제일 편안하고 예쁘게 보입니다. 1:1.33. 가로가 넓어야 안정되어 보입니다. 편안한 거지요.
  그거와 시선을 달리하는 게 영화 화면입니다. 처음엔 정사각형, 그러니까 1:1의 비율이었던 것이 화면에 속도를 담아내기 위해 가로의 비율이 늘어나게 됩니다. 텔레비전 시절 컴터 모니터의 비율이 앞에 이야기한 것과 같이 800*600이었던 것이 16:9로 가로의 비율이 늘어나다가 지금은 2:1이 되었는데 이것은 빠른 속도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지 인간에게 매력적인 비율은 아닙니다.
  물론 사진기로 찍어 인화하는 규격도 이에 따릅니다. 내 폰의 카메라는 2:1로 설정되어 있네요. 그런데 인화지 규격을 검색해 보니 인치로 5:4(10:8) 규격인가 보네요. 여튼 가로의 비율이 커야 보기에 좋습니다. 그런데 학창 시절 하프사진기라는 게 나왔습니다. 필름값을 아기기 위해 필름 한 장을 둘로 나누어 쓰는 겁니다. 그러면 생기는 일이 5:4의 비율은 2.5:4의 비율로 세로의 비율이 훌쩍 커지는 문제가 생깁니가. 그냥 세로비율이 커지는 정도가 아니라 5:4라면 1.25:1정도인데 2.5:4라면 1:1.6으로 뾰족하다고 할 정도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해상도가 절반으로 떨어지구요. 예쁘지도 않은데다 앨범에 끼우려면 문제가 생깁니다. 인화한 사진을 끼우는 앨범의 각 페이지의 기본 틀이 이랬거든요.


  이러다 보니 사진을 찍을 때 가로세로의 비율의 사진 개수를 어림 짐작해야 하는 경우가 생겼고 가로가 석장, 세로가 두 장이니까 잊지 않고 사진기를 세워서 찍으려는 습관이 생기게 되었지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자 공부 간간 쓸개담이라고 생각 했다고 합니다.

  - 肝=月(육달월)+干(방패 간)인데 月이 부수로 쓰일 때는 모두 신체의 일부를 뜻하며 그래서 '달 월'이 아니고 '육달월'이라고 합니다. 干이 '근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서 간이 생명을 유지하는 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