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11

한글 자음 낱자의 이름

   한글낱자 읽는 법이 처음 훈민정음 창제시에 없다가 나중에 훈몽자회에 나온 게 지금까지 이어졌다고 합니다. 웜리는 모음 ㅣ와 ㅡ에 각가 초성과 종성을 넣는 방법으로 만들었답니다. 니은, 리을, 미음, ...그런데 그걸 읽는 법이 필요해서 그걸 한자로 표기했습니다. 尼隱, 梨乙, 眉音 등으로. 그런데 자음 중 한자로 표기할 수 없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윽이 없어서 대신 其役으로, 읃이 없어서  끝을 뜻하는 글자를 가지고 와서 池末로, 읏이 없어서 옷을 뜻하는글자를 가지고 와서 時衣로 표기했답니다. 딱 세 글자가 이렇게 예외가 되었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그 때와 지금?

   오늘은 오랫만에 산에서 노래를 들었는데 플래시댄스에서 뭔가 느낌이 이상하더니 그 다음 곡인 핫스텁을 들으면서 이 곡들이 내가 학교 다니던 시절 댄스곡이었다는 것을 2,3,4십대가 알리는 만무하고 과연 듣고 나서도 댄스곡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