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7

홍익인간?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정책이 있을까요? 지금 대한민국은 국민연금을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로 시끄럽잖아요. 그게 어려운 건 자신이 어떤 입장이냐에 따라 개선 방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더 내야 하는지 얼만큼 더 내야 하는지 더 받아야 하는지 얼만큼 더 받아야 하는지가 입장에 따라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꿩먹고 알먹고라고 나온 의견에 정년을 늘리는 것이었습니다. 노인들에게 일자라를 주고 그러면 세금도 더 걷고 연금도 더 내게 되니 해결된 것 아니냐고. 당연히 젊은이들 일자리를 빼앗아 가는 거라고 저항이 있어서 현재 정년연장은 여러 면에서 필요하다면서도 시행은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년을 65에서 60으로 줄이는 것은 저항이 있어도 했는데 다시 60에서 62로 기껏 2년을 되돌리는 것도 가능한 일이 아닌가 봅니다.

  모두에거 이로운 것은 재물이 무한정 공급될 때만 가능합니다. 경제적인 가치 혹은 이익은 총량이 정해진 쟁반 위의 사과입니다. 이건희의 아들이 편법을 써서 상성의 지배권을 가져갈 때 최소한 삼성물산의 다른 주주들은 엄청난 손해를 보았습니다.

  호랑이 떠난 골에 여우가 대장질 한다고 서울대 교수가 성추문으로 사라지니 택도 없는 게 일인자처럼 으스대고 억지 말을 하고 다닙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과 뷰티풀 마인드를 같은 반열에 놓고 설명을 텔레비전에서 했습니다. 정말 멍청한 의견입니다. 존 내쉬가 만들려고 했던 공식(완성도 못 했는데 노벨상을 받았는데)은 모두에게 적용되는 만능 치트키 공식이었습니다. 수학이 위대한 것은 맞지만 합리적이기 때문에 그런 위치에 있는 것입니다. 미국의 손을 놓아야 그 손으로 중국을 잡는 것인데 둘 다 만족하는 수학공식을 만든다고 한 게 아름다운 생각이라니 수학을 ㄱ, 때위로 보는 사람이 유명 대학 교수라니. 존 내쉬야 노망난 늙은이를 미국이 알아서 키워준 거니 그를 비하하는 게 아니고 그냥 망령든 생각이지만 박형주는 다른 거잖아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그 때와 지금?

   오늘은 오랫만에 산에서 노래를 들었는데 플래시댄스에서 뭔가 느낌이 이상하더니 그 다음 곡인 핫스텁을 들으면서 이 곡들이 내가 학교 다니던 시절 댄스곡이었다는 것을 2,3,4십대가 알리는 만무하고 과연 듣고 나서도 댄스곡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