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05

국가의 책무

  가난 구제는 나랏님도 못한다는 말을 어른들게 자주 들었습니다. 나쁜 군주가 지배하는 나쁜 봉건사회의 세뇌를 받았던 그들이었기에 그렇게 생각한 거지요. 봉건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자신의 재물을 피지배민들에게 나누어 주는 군주들도 간간히 있잖아요.
  빈자에 대한 구호는 궁극적으로 국가의 이익으로 전환됩니다. 건강해야 군대로도 부르고 부역도 시킬 수 있잖아요. 병이라도 걸려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시키면 그 피해는 상상 못하게 커지구요.
  요즘 가족 동반 자살에 대해 인권운동가들이 용어부터 달리 해야 한다고 여론화하고 있습니다. 가족 부양을 더 이상 할 수 없어 가족을 죽이고 자살을 하는 사람은 동반자살이 아니라 친족살인이라고. 아이가 선택하지 않은 거라고.
  하지만 그들이 선택한 것은 세상에 대한 원망과 부정입니다. 세상이 자신과, 자신의 가족에게 등졌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그래서 극단적으로 그 세상과 분리한 것입니다. 뉴스에 나오는 것은 '돌보아 줄 수 있는 사람이 사라진 곳에 남겨진 아이의 불행'이 뻔히 예견되어 남겨 두면 버리고 가는 것이라고 생각되어 함께 데리고 간다고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숨겨진 진짜의 뜻은 세상에 대한 배신과 그로부터의 격리인 것입니다.
  어찌 되었건 가장이 책임을 묻기 전에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 국가의 책임인 것입니다. 그 사람은 세금을 내지 않았다구요? 그런 사람들을 위해 내가 많이 내고 있잖아요. 삼성이 탈세한 것을 벌충할 수 있도록까지도 내고 있잖아요. 국가란 것이 보이는 사람에게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힘이 없어 일반 사람들에게 가려진 버려진 사람들에게도 든든한 빽이 되어 주어야 하는 사회가 건강한 공화정 국가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불행의 시작, 인간의 욕심

   인간의 본능인 욕심은 문명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산주의 경제의 가장 큰 결점이 되기도 하구요. 또한 성취욕은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꼭 필요한 것입니다. 당糖도 마찬가지잖아요. 핏속에 들어가 몸에 에...